알고리즘 14

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 feat. 빅오 표기법

📌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란?알고리즘이 수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입력 크기(input size)에 대한 함수로 표현한 것 1초 → 약 1억 번의 연산이 이루어진다.        📌시간 복잡도 유형💡빅 오메가(Ω(n)) = lower bound (하한선)    • 최선일 때(be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💡빅 세터(ϴ(n))    • 보통일 때(average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💡빅 오(O(n)) = upper bound (상한선)    • 최악일 때(worst case)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  ❗코딩테스트를 할 때에는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해 모든 케이스를 통과해야하므로 빅 오 표기법(최악의 경우)을 염두에 둬야 한다.      ?..

백준 문제푸는 방법 / 백준 1000번 A+B (JAVA)

📌백준 문제푸는 방법   백준 문제를 처음 접한 사람들 중 아마 컴파일 에러를 경험하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. 백준은 프로그래머스와 달리 class명이나 라이브러리/클래스 import 구문을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인데, 이러한 이유로백준 문제를 풀 때는 가급적 Eclipse나 IntelliJ같은 IDE 툴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  기본문제를 하나 풀어보면서 백준 문제는 어떤 식으로 답을 작성해야 하는지 알아보자.   📌예제로 알아보기 (백준 1000번 A+B)  아래는 JAVA로 푸는 방법이지만, 모든 언어가 동일하게 각 언어에서의 문법 규칙만 지켜서 제출하면 된다.   문제)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  두 수를 입력받으므로 Sc..